끝을보는 기자들의눈

인천시, 디지털 전환 가속화 선제적 대응 기본계획 수립

기자들의 눈 2023. 4. 12. 10:55

제6차 인천광역시 지능정보화 기본계획 용역
인공지능, 데이터 등 최신 디지털 기술 접목

인천광역시청 청사 [사진 제공=인천시]

[기자들의 눈=최재윤 기자] 인천광역시는 민선 8기의 시정 비전과 목표를 반영한 새로운 정보화 비전 및 발전전략 마련을 위한 ‘제6차 인천광역시 지능정보화 기본계획 수립’ 용역의 사업을 추진한다고 12일 밝혔다.

그간 기본계획은 5년 주기로 수립했으나, 디지털 전환 가속화에 선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2022년 2월 시는 인천시 지능정보화 조례를 개정하고 앞으로는 3년마다 수립하게 된다.

특히 지능정보화 기본법에 따른 지능정보사회 종합계획 3년 주기 수립의 기본계획은 정보화 정책의 효율적·체계적 추진을 위한 행정, 경제, 도시, 산업 등 전 분야에 걸친 지능 정보화 중장기 마스터플랜이다.

이를 위해 인천시는  4월 4일 입찰 공고를 냈으며, 오는 25일에 제안서를 접수한다. 이후 제안서 평가 및 협상에 의한 계약으로 사업자가 선정되면, 180일간 사업을 진행하게 된다.

또한, 기본계획의 면밀한 검토를 위해 ‘인천광역시 지능정보화위원회’를 비롯한 전문가 자문단, 실무 추진단, 관계부서 의견수렴, 시민 설문조사 등을 통해 다양한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계획(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지능정보화위원회 심의를 거쳐 수립·확정하게 된다.

이번 사업에서는 디지털 혁명이라는 전환기를 맞아 새로운 정책 패러다임을 반영한 △정보화 비전 및 전략 수립과 △비전 실현을 위한 분야별·연차별 추진 로드맵을 도출하며 △이행계획에 대한 재원조달 방안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시정혁신 방안 강구 등 핵심과제도 마련할 계획이다. 

또한, △재해·재난에 대비한 정보시스템 고도화 방안 △지능화되는 사이버 위협에 대비한 초연결 시대 사이버 보안 대응체계 수립 △정보화 프로젝트의 효율적 관리방안 △인천시 지역 수요와 특성을 고려한 지능정보서비스 모델 창출 및 실행방안을 제시한다.

천준호 시 기획조정실장은 “최근 챗GPT와 같은 초거대 AI의 등장으로 인공지능이 우리 일상으로 자리잡기 시작했다”며 “디지털 전략을 담은 기본계획을 수립해 최신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인천시만의 특화서비스를 적극 발굴함으로써 디지털 행정혁신 가속화에 적극 대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