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사회

종교 권력화 정치적 개입 갈등 파문

기자들의 눈 2011. 8. 24. 17:37

무상급식 파동 주민투표법 위반 종교계 목사들 강력조사...


서울시 무상급식 주민투표를 놓고 최근 일부 대형교회들이 "정부 정책에 중립 지켜야" 함에도 투표 참여를 독려한 것을 계기로 우리 사회에 '종교가 정치에 개입해야 하느냐'는 파장이 일고 있다.

24일 무상급식 주민투표 정점을 찍으며 그 동안 정교(政敎) 갈등이 사회적 문제로 지적되며 최근 들어 종교계의 정치 개입이 '도를 넘었다'는 비토가 쏟아지며 특히 보수 개신교가 이슬람 채권법 반대와 여권법 시행령 개정안을 놓고 정부 정책과 관련해 목소리를 높여왔다.

 

“이와관련” 조용기 여의도순복음교회 원로목사는 올 2월 '이슬람채권법을 계속 추진할 경우 이명박 대통령의 하야 운동을 전개한다는 취지 발언을 통해 파장이 일며 갈등이 고조되었다  

 

또한 금권선거 논란에 휩싸였던 한국기독교총연합회(한기총) 대표회장 길자연 목사도 지난 3월 이명박 대통령 등 정관계 인사들이 참석한 국가조찬기도회에서 통성 기도를 인도하면서 참석자들이 무릎을 꿇고 기도하도록 해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그리고 현 정부 들어 정치권과 가장 큰 각을 세운 것은 불교계로 지난해 말경 템플스테이 예산 삭감은 불교계의 거센 반발을 불러오며 국내 최대 불교 종단 조계종이 템플스테이 지원 예산이 삭감되자 정부·여당과 대화 거부를 선언 정부·여당 인사의 사찰 출입을 금지했다.

또한 최근에는 도로“명 새주소 도입과 관련해 정부와 대립각을 세우기도 하며 천주교 역시 4대강 사업을 반대하는 목소리를 내며 정부와 갈등 양상을 빚었다.

”이와관련” 종교계는 내년 대선과 총선을 겨냥 종교계 모임도 결성되는 양상을 보이며 '생명과 평화의 세상 만들기 기치로 내건 기독교인 모임 '2012생명평화기독교 행동은 오는 30일 명동 향린교회에서 창립예배를 통해 공식 출범한다는 것이다.

 

이 단체는 이 땅에 '생명과 평화의 정치를 세워나갈 의식 있고 정책이 있는 실천의지 정당과 정치인에게 투표하자는 운동을 통해 한국 교회와 국민에게 알려야 한다며 내년 대선과 총선 때 생명과 평화를 존중하는 정치인을 지지할 것이라는 입장을 내고 있다

 

그러나 종교계의 정치 개입을 바라보는 시선도 곱지 않는 가운데 과거 권위주의 정부시절 종교계 인사들이 민주화 운동에 참여 존경을 받기도 했지만 최근 종교계의 정치 개입은 자신들의 이익 침해에 반발하는 측면이 강해 과도한 정치 개입 이라고 지적이 되고 있다

“이와관련” 손봉호 고신대 석좌교수도 의견을 내며 24일 "인권 유린 등 국민 모두가 동의하는 사회 정의에 어긋나는 정책을 정부가 세웠을 때는 종교계가 일어나야 되겠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정부 정책에 중립을 지켜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신율 명지대 교수 역시 일부 대형교회 목사들이 무상급식 주민투표 참여를 독려한 것과 관련 "성직자로서의 직업윤리 사회적 윤리 의식이 결여된 것"이라고 비판하면서 "가난한 사람, 힘없는 사람, 눌린 사람들을 위해 존재하는 것이 종교"라고 말하고 있다

또한 홍성태 상지대 교수도 무상급식 주민투표를 독려한 이번 목사들의 사례는 일반적인 정교 갈등 사례로 볼 수 없다며 "특히 현 정권이 기독교 정권이라는 비판을 계속 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동아시사 뉴스 김양훈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