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사회

인천중구청 비판기자 보도자료 중단 막가파 공보행정

기자들의 눈 2012. 12. 23. 23:32

 

 

고질적 공보행정 담당공무원 교체필요 국민 알권리 제한하는 중구청 최악...

 

인천중구청이 출입등록 기자에게 보도자료를 발송중단하고 있어 공보행정 국민 알권리에 구멍이 생겼다.

 

또 수년간 인사이동도 없이 공보실에만 근무하며 언론을 통제하는 주무관의 대하여 강력한 인사조치도 요구되고 있다.

 

한편 중구청공보실은 기자단과 청장대행을 수행한 술자리 오찬에 대해 비난을 받았다. 회원사와 곽하형부구청장 당시 구청장대행은 “산바”태풍이 왔지만 긴박한 국가 비상령 상황에서도 술자리 오찬이 가졌다.

 

이와관련 도마 위로 오른 공보실은 비난의 대상이 되었고 비판기사를 쓴다는 이유로 중구노동조합도 출입등제‘된 기자를 출입 거부해 중구청이 비판언론에 재갈을 물리는 구정운영이 잘못된 시스템으로 인해 해당자들이 고소를 당하는 등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중구청은 그 동안 출입 등록한 기자차량을 공정하게 다른 구청과 달리 통제하며 공보행정을 치졸한 방법으로 기자들을 관리했다는 지적과 비난도 받고 있다.

 

중구행정만 취재 대상이 아님에도 구의회 출입까지 차량을 통제해 등록기자들은 임의성 회원사와 달리 차별받으며 간담회 역시 회원사와 맘에든 일부 기자만 구청장과 간담회견을 가지도록 했다고 비난하고 있다.

 

이에 고질적 병폐는 편중광고 공보행정은 공개되어야 하지만 꽉 틀어쥔 폐단은 중구민 세금을 효율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는 논조가 다른 언론사들이 지적하고 있다.

 

한편 중구청은 문제 인식을 하지 못하고 기자들에게 계속 식사를 접대하고 있어 언론기능에 재갈 물리는 구태행정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과 깨끗한 공보행정을 위해 이 모든 것은 폐지되어야 한다는 여론이 확산되며 비판이 일고 있다.

 

A기자는 비단 중구청 구태가 “오늘 내일 일이 아니라며 대부분 봉급 없는 기자들이 출입하며 광고를 받기위해 비판의 기능이 상실‘된지가 오래된 현실로 공보실 눈치나 보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사이비기자 파문이 확산되며 앞장선 회원사 새한일보가 지방지 기자들을 사이비로 몰아 문제인식도 못하는 기자라는 비난을 받으며 중구청을 상대로 광고를 받고 있어 언론기능 전반 상실을 놓고 중구청 개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새한일보는 2011년 현재까지 공개대상‘된 ABC 유가지 부수판매 등록도 없는 신문사로 중구청 회원사란 이유로 광고를 받는다는 것은 중구청 공보행정에 논란이 또 도마 위로 올라 문제가 되고 있다.

 

새한일보 정모기자는 이런 처지임에도 지방지 기자들을 사이비기자로 지칭해 검찰로 고소를 당하는 등 웃지도 못하는 헤프닝이 벌어지고 있지만 중구청은 이런 신문사를 회원사로 인정한 사실에 대하여 광고를 준 내역이 어떤 기준을 둔 지방지 관리 기준인지 중구공보실 업무실태를 두고 참담할 지경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한편 논조가 다른 언론사들은 공평성 없는 공보행정이 시민의 혈세를 회원사들에게 마구잡이로 지불하자 IP계약도 없는 스크랩 비용을 언론사에게 지불하는 것은 위법이라며 시정을 하지 않을시 감사원 앞에서 강력한 집회를 해서라도 감사원 감사를 받도록 강력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반발하고 있다.

 

이와관련 아무런 제제도 받지 않는 회원사 지방지에게 지불되는 스크랩비용과 광고비로 인하여 언론 비판기능이 상실되는 촌극이 벌어지고 있는 가운데 신임김홍섭 중구청장은 문제인식을 정확히 파악해 중구청을 개혁하라고 주문을 하고 있다.

 

- 김양훈기자 -